경제

한눈에 보는 대표적인 미국, 국내 채권 ETF 비교 정리

벨로두부 2022. 10. 31. 22:51
반응형

한눈에 보는 대표적인 미국, 국내 채권 ETF 비교 정리

 앞서 증권 앱에서 장외 채권과 장내 채권을 매수하고 투자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사실 가장 쉬운 채권 투자 방법은 채권 ETF를 매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매수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채권 ETF의 경우 직접 채권 시장에서 구매하는 채권과 달리 원금 보장이 되지 않고, 금리 인상, 유동성, 정책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점을 꼭 명심하셔야 합니다. 

 

 먼저 가장 대표적인 미국 채권 ETF 삼 형제는 바로 TLT, IEF, SHY입니다. 그래프를 보면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TLT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2022.10.31 기준 TLT 5년 차트
2022.10.31 기준 TLT 5년 차트

20년 이상의 장기 채권들만 모아놓은 채권

- 보유 종목 개수 : 33개

- 운용 보수 : 0.15%

- 자산 규모 : 24,709백만 달러

- 배당 수익률 : 3.03% (매월 지급)

 

2. IEF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

2022.10.31 기준 IEF 5년 차트
2022.10.31 기준 IEF 5년 차트

7~10년의 중기 채권들만 모아놓은 채권

- 보유 종목 개수 : 14개

- 운용 보수 : 0.15%

- 자산 규모 : 21,579백만 달러

- 배당 수익률 : 2.36% (매월 지급)

 

3. SHY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

2022.10.31 기준 SHY 5년 차트
2022.10.31 기준 SHY 5년 차트

1~3년의 단기 채권들만 모아놓은 채권

- 보유 종목 개수 : 76개

- 운용 보수 : 0.15%

- 자산 규모 : 29,319백만 달러

- 배당 수익률 : 1.6% (매월 지급)

 

위 내용을 보기 쉽게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TLT IEF SHY
채권 만기 기간 20년 이상 7~10년 1~3년
보유 종목 개수 33개 14개 76개
운용 보수 0.15% 0.15% 0.15%
자산 규모 24,709백만 달러 21,579백만 달러 29,319백만 달러
배당 수익률 3.03% 2.36% 1.6%

 

 배당 수익률은 20년 이상의 장기 채권들을 모아놓은 TLT가 3.03%로 가장 높은데요. 위의 그래프를 보시면 그만큼 등락률도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igh Risk, High Return이 진리라는 것은 다들 알고 계시죠? 


 그렇다면 국내 채권 ETF 도 알아볼까요? 대표적인 국내 채권 ETF 중 하나가 바로 KOSEF 국고채 10년입니다. 2011년 10월에 설정되었고 한국 국공채 10년 수익률을 추종합니다. 

KOSEF 국고채 10년 그래프
KOSEF 국고채 10년 그래프

구분 KOSEF 국고채 10년
채권 만기 기간 10년
보유 종목 개수 3개
운용 보수 0.15%
자산 규모 4,068억
배당 수익률 1.87% (연 1회)

 


 여기까지 미국과 국내 채권 ETF에 비교 정리해보았습니다. 요즘 채권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가고 있는데요. 시장의 상황과 지수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신중한 투자 하시고 성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 글]

장내채권과 장외채권의 차이점, 장내채권 장외채권 매수 방법 총 정리

 

장내채권과 장외채권의 차이점, 장내채권 장외채권 매수 방법 총 정리

장내채권과 장외채권의 차이점, 장내채권 장외채권 매수 방법 총 정리 채권 투자 방법은 장내 채권 매매, 장외 채권 매매, ETF 매매가 있는데요. 이번에는 장내 채권, 장외 채권 투자 방법에 대해

anything-i-wan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