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이야기

2023 카타르 월드컵 포르투갈전에서 황희찬의 검정 브라탑 정체는?

벨로두부 2022. 12. 3. 23:12
반응형

2023 카타르 월드컵 포르투갈전에서 황희찬의 검정 브라탑 정체는?

썸네일

어제 새벽에 펼쳐진 대한민국 vs 포르투갈 경기! 정말 경기 내내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명경기였는데요.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에 대한 포스팅을 하면서도 쉽게 이기기 힘든 강팀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멋진 경기력과 좋은 결과를 선사해주어서 우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무한한 고마움을 표하고 싶습니다. 

 

  그 중에서도 3명의 압박을 뚫은 손흥민의 황금 어시스트 그리고 빠르게 돌진하여 손흥민의 공을 받아 이뤄낸 황희찬의 결승골이 단연 이번 경기의 하이라이트였습니다. 황희찬은 멋진 결승골을 넣은 후 상의를 탈의하며 기쁨의 세리머니를 펼쳤는데요. 너무 기쁜 와중에도 '저 검정색 브라탑은 뭐지..?'라고 생각하신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역시나 이 브라탑은 우리 재치가 넘치는 네티즌들 사이에서 손흥민 마스크와 비유하여 패러디가 되었습니다. (ㅎㅎ)

황희찬 세리머니와 손흥민 마스크 패러디
황희찬 세리머니와 손흥민 마스크 패러디

검은색 브라탑의 정체는 전자 성능 추적 시스템인 'ETPS'

전자성능추적시스템 (출처 : FIFA)
전자성능추적시스템 (출처 : FIFA)

 저 브라탑(?)의 정체는 바로 '전자 성능 추적 시스템' 즉 'ETPS(Electronic Performance & Tracking System)'

라고 불리는 선수들과 팀의 성과를 제어하고 향상하는 데 사용되는 웨어러블 장치입니다. ETPS를 통해 선수들의 활동량, 최고 속도, 뛴 거리, 심박수 등 경기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데요. EPTS는 선수들의 위치와 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GPS 기반 시스템, 필드 곳곳에 전자측정장비를 설치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LPS 기반 시스템, 카메라를 통해 축구장 전반을 촬영하고 인공지능이나 전문가가 분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영상 기반 시스템으로 나뉘는데 각 팀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며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은 GPS 기반 시스템입니다. 

 

 국내에서는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훈련 과정에서 처음 EPTS를 도입했으며,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우승한 독일 역시 EPTS 장비로 좋은 효과를 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FIFA에서는 2018년부터 경기 중 EPTS 시스템 사용을 공식적으로 승인하여 대부분의 프로팀들과 국가대표팀들이 사용하고 있고 월드컵에서는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처음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습니다. 

출처 : 디지털투데이, 토트넘 홈페이지 갈무리

 손흥민이 속해있는 토트넘 또한 EPTS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축구 경기를 보다가 선수들의 목에 볼록한 게 보인다면 그것은 바로 EPTS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선수들의 활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훈련에 활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 EPTS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처음으로 오프사이드를 AI로 판독할 수 있는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 (SAOT)도 도입되었는데요. 다음에는 이 SAOT 기술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연관 글]

 

2022 카타르 월드컵 마지막 조 리그 경기! 포르투갈 축구 대표팀 파헤치기

2022 카타르 월드컵 마지막 조 리그 경기! 포르투갈 축구 대표팀 파헤치기 매번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는 대표팀인데, 안타깝게도 행운이 따라주지 않는 것 같습니다... 역전까지 노려볼 만했던 만

www.belloworld.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