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투자 전에 알아둬야 할 채권 핵심 용어 파헤치기
채권 투자 전에 알아둬야 할 채권 핵심 용어 파헤치기
채권 투자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에 꼭 알아둬야 할 채권 용어들이 있어 정리해보았습니다.
채권의 구성 요소
구분 | 내용 |
만기 | 10년 |
표면금리 | 5% |
매수금리 | 4.05% (매수단가 : 10,040원) |
액면 금액 | 100,000,000 |
이자 지급 유형 | 1년 이표채 |
채권에 투자할 때 보면 위와 같은 항목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표면 금리
- 표면 금리는 채권을 발행할 때 발행자가 지급하기로 약속한 이자율로, 연 이율로 표기됩니다. 고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이자로, 위의 표처럼 표면 금리가 5%인 채권을 1억 보유하고 있을 경우 매년 1억 * 5%, 5백만 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매수 금리
- 매수금리는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획득하게 되는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채권의 가격을 나타냅니다. 만약에 매수 금리가 표면금리 (발행했을 때의 금리) 보다 높다면, 채권의 가격이 낮아졌다는 의미고 매수 금리가 표면금리보다 낮다면 채권의 가격이 높아졌다는 의미입니다. 위의 표를 보시면 매수단가가 10,040원으로 최초 10,000원보다 높아졌으니 매수 금리(4.05%)가표면 금리(5%) 보다
-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의 관계는 아래 글에 정리해두었습니다.
쉽게 설명한 채권 가격과 채권 금리의 상관관계 - 액면 금액
- 액면 금액은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받는 원금을 의미합니다. 위의 표에서는 1억이 원금, 즉 액면가가 되며 만기인 10년 간 보유 시 1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자 지급 유형
- 이자를 어떤 유형으로 지급받을지에 대한 유형으로 1년 이표채이면, 1년마다 이자를 받는 지급 유형입니다. 다른 이자 지급 유형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채권이란? 주식과 채권 차이? (쉬운 채권 설명)
쉽게 설명한 채권 가격과 채권 금리의 상관 관계
가격이 떨어지면 금리가 오르는 채권, 채권 가격과 금리는 어떤 관계일까요? 먼저 결론부터 말하자면 채권 가격과 채권 금리는 서로 역관계이며 금리가 오르면 가격이 떨어지고, 금리가 내리면
anything-i-want.tistory.com
채권이란? 주식과 채권 차이? (쉬운 채권 설명)
채권이란? 주식과 채권 차이? (쉬운 채권 설명) FED(연준)에서 금리 인상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고 주식 시장도 위기인 지금의 경제 시장에서 채권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는 것 같고, 채권에
anything-i-want.tistory.com
실제 화면을 보면서 확인해볼까요?
그럼 실제로 증권 앱에서 채권 매수 시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보면서 복습해보겠습니다. 아래 화면은 신한투자증권 앱의 장외채권 매수 메뉴에서 한국전력공사채권을 선택했을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이 화면을 보시면 만기는 2024년 10월 25일이고 표면 금리는 5.99%이며 매수 금리는 5.77%, 이자지급주기는 6개월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수 금리가 표면금리보다 낮아진 것을 보면 이 채권의 가격은 상승했을 거라고 예상할 수 있고 실제로 매수단가를 보면 10,043원으로 오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은행환산 수익률이란, 은행에서 세전 연 5.72%의 예금에 가입했을 때와 동일한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 외의 상세 정보는 상세보기> 버튼을 눌러서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이렇게 채권의 발행 규모와 신용등급, 이자 지급 일자와 예상 지급 이자 금액까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채권 투자 전에 필수적으로 알아둬야 할 핵심 용어에 대해 확인해보았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