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를 주시하는 이유? 지금까지와 다른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

by 벨로두부 2022. 10. 22.
반응형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를 주시하는 이유?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란?

 

1.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란?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는 10년 금리와 2년 금리 간 차이를 의미합니다. 보통은 당연히 기간이 짧은 단기 채권의 금리가 장기 채권의 금리보다 낮아야 하는데 단기 채권의 금리가 더 높아졌을 경우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라고 합니다. 장단기 금리차(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는 주요 금융 시장 및 경제 지표 중에서 경기 침체에 대한 예측력이 가장 정확한 지표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요! 실제로 미국에서는 1960년 이후 경기 침체가 발생할 때마다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어왔다고 합니다. 요즘 같은 경제 위기 속에서 꼭 살펴봐야 할 지표라고 생각됩니다.

경제 위기 때마다 역전된 장단기 금리차 그래프

 실제로 근 40년 간의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를 보면 블랙 먼데이, 닷컴 버블, 서브 프라임 경제 위기 때마다 저렇게 장단기 금리차 지표가 마이너스, 즉 단기 채권의 금리가 장기 채권의 금리보다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를 직접 확인해보시려면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사이트에 들어가서 찾아보시면 되는데, 링크는 아래에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FRED 사이트에서는 CPI, GDP, 인플레이션, 실업률 등 여러 경제 지표 차트를 볼 수 있으니 궁금한 차트가 있으시면 들어가서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T10Y2Y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Sourc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elease: Interest Rate Spreads Units:  Percent,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Daily Notes: Starting with the update on June 21, 2019, the Treasury bond data used in calculating interest rate spreads is

fred.stlouisfed.org

 

 그런데, 올해 4월에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가 잠깐 역전되더니, 7월부터 지금까지 계속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것을 아래 그래프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브 프라임, 닷컴 버블 같은 경제 위기가 온 것일까요? 최근에는 기간 프리미엄의 하락 등을 근거로 장단기 금리 역전의 경기 예측력이 낮아졌다는 의견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여러 경제 전문가들도 지금 이 지표를 주시하고 있고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는 차트는 아니고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반영된 것이기 때문에 주의 깊게 볼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올해 4월과 7월 이후 지금까지의 장단기 금리차 그래프

 그리고 심지어 2022년 10월 18일을 기준으로 미국의 10년 물 채권 금리와 3개월 물 채권 금리도 역전되었었습니다. 현재는 다시 올라오긴 했으나 계속 들여다볼 필요가 있어 보이죠?

10월 18일에 역전된 10년 물 채권 금리와 3개월 물 채권 금리

2. 그렇다면 장단기 금리는 왜 역전되는 건가요?

 기준 금리가 아닌 채권 금리는 시장 금리로써 당시의 경기 상황과 수요에 의해 금리가 변동됩니다. 특히 단기 채권의 금리는 2~3년 안에 돈을 갚기로 한 채권인만큼 기준 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요. 최근처럼 기준 금리가 많이 올랐을 때 2~3년이라는 짧은 기간이다 보니 단기간의 금리 변화는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는데 앞으로 기준 금리를 훨씬 더 많이 인상될 것이라고 예상하여 단기 채권 금리가 급등하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 장기 채권은 단기적인 경기 전망이나 당장의 기준 금리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당장 금리가 높아도 그것이 장기적으로 이어질지 예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예상된다면 기업들이 앞다투어 자금을 빌리려고 할 것이고 자금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에 장기 채권 금리가 올라가게 됩니다. 반대로 경기 전망이 어두우면 장기 자금 수요가 줄어들 것이니 채권 금리가 하락하는 것이죠. 
 이렇게 단기 채권 금리는 올라가고, 장기 채권 금리가 하락할 때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3. 하지만 이번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다릅니다.

 위에서 설명한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는 이유를 읽으시면서 뭔가 이상하지 않으셨나요? 지금은 장기 채권 금리가 떨어지고 단기 채권 금리가 오르는 것이 아닌 장단기 채권 금리가 모두 오르고 있습니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장기 채권 금리가 하락해서 발생한 역전 현상이 아니라, 단기 채권 금리가 장기 채권 금리에 비해 너무 급격하게 오르고 있어서 발생한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입니다. FED(미국의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에서 기준 금리를 너무 급격하게 인상하여 영향을 끼친 것이죠.


마무리

  이번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지금까지 와의 발생 이유가 다를지라도, 무시할 수 있는 지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여러 전문가들이 지금도 유의미하게 언급하고 있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를 시작으로 거시 경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여러 경제 지표들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저도 블로그를 통해 그 경제 지표들의 정의를 정리하고 변화를 모니터링하려고 합니다. 이다음에도 각종 경제 지표들의 정의와 그 경제 지표들에서 발생한 유의미한 변화들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