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카타르의 월드컵 유치 성공 이유와 한국 조선업의 연관성

by 벨로두부 2022. 11. 21.
반응형

카타르의 월드컵 유치 성공 이유와 한국 조선업의 연관성


엊그제 카타르 월드컵의 개막식을 시작으로 카타르 월드컵이 시작되었습니다. 카타르 월드컵은 중동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월드컵이며 중동의 기후 때문에 여름이 아닌 겨울 11월에 개최되는 이례적인 월드컵입니다. 고온의 날씨와 우리나라 경기도와 비슷한 크기인 만큼 역대 월드컵 개최지 중 가장 작은 나라이지만 모든 경기장에 에어컨을 설치하는 투자와 면적이 작아 하루에 2경기를 볼 수 있다는 이점을 내세워 월드컵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물론, 이 뿐만 아니라 스포츠 분야에 쏟은 엄청난 돈도 한몫했는데요. 카타르가 월드컵 개최지가 될 수 있었던 이유와 최근 한국 조선 수주가 급증한 이유도 살펴보겠습니다.

카타르 국기
카타르 국기

이슬람 국가들 중 가장 융통성있고 치안이 좋은 나라

카타르는 외교적으로 개방적이고 친서방 국가이며, 이슬람 국가들 중에서 가장 세속적이고 융통성이 있는 편입니다. 여성들도 투표권을 가지고 있고, 외국인들에 한해 음주가 가능하며 종교의 자유가 있어 이슬람교 외에 힌두교나 기독교 등의 종교가 존재할만큼 융통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치안이 매우 좋습니다. 카타르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러시아, 이란에 이어 세계 3위인데 이 가스가 왕실 소유이다 보니 가스를 팔아서 번 돈을 국민들에게 나누어 줍니다. 따라서 매달 500만 원가량의 생활비를 지급하고 의료비와 교육비가 무상일 정도로 엄청난 복지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왕실에 대한 지지율이 높아 반정부 행위나 테러, 내전 같은 게 없으며 세계에서 범죄율이 극히 낮은 안전한 국가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엄청난 투자비

월드컵 개최지별 투자비 비교

카타르는 2022 월드컵 외에도 2023 AFC 아시안컵, 2024 AFC 23세 이하 아시안컵, 2030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게 됩니다. 이렇게 많은 국제 대회를 유치할 수 있었던 것은 카타르가 쏟아부은 어마어마한 돈때문이라는 소리가 많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 2022 카타르 월드컵에 투자된 비용은 2200억 달러, 한화로 약 300조 원이 넘습니다. 2002 한일 월드컵 때 투자했던 70억 달러의 무려 30배가 넘고 우리나라 2023년 정부 예산안 639조 원의 절반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투자 비용입니다. 이 투자 비용으로 카타르는 고온 기후를 해결하기 위한 7개의 경기장을 신설, 에어컨을 설치했으며 면적이 작다는 단점을 장점으로 바꾸기 위한 경기장과 공항, 호텔, 병원, 쇼핑몰 등 편의 시설을 잇는 교통망을 구축했다고 하죠.
특히 오일머니를 앞세워 표를 끌어모았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카타르가 투표를 매개로 FIFA 장에게 뇌물을 줬다는 주장인데요. 뜨거운 기후와 이슬람의 보수적 문화에도 불구하고 월드컵 개최지로 선정되어 이런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카타르의 수익 급등과 한국 조선 사업의 연관성

LNG 운반선 (출처 : 현대중공업그룹)
LNG 운반선 (출처 : 현대중공업그룹)

카타르가 이렇게 돈을 많이 쓸 수 있는 이유가 뭘까요? 카타르는 원유와 가스가 나오는 국가입니다. 2019년 기준 에너지 수출액이 전체 수출의 86%, GDP의 34%, 재정 수입원의 79%를 차지할 만큼 카타르는 에너지 산업이 중심이고 에너지 가격에 의해 경제가 좌우되는 국가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원유와 가스 수출을 통해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었는데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중단했고 여기서 카타르는 어마어마한 수익을 얻게 됩니다. 유럽과 러시아는 가스 파이프로 연결되어있었기 때문에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의 가스를 수입해왔으나 러시아가 가스 밸브를 잠금으로써 대체 국가를 찾아야 했고 유럽과 가장 가까운 나라가 바로 카타르였던 것입니다. 유럽과 러시아는 가스 파이프로 연결되어있다고 말씀드렸죠? 하지만 카타르와는 파이프로 연결되어있지 않아 천연가스를 냉각해 액화시킨 LNG를 배로 실어 옮겨야 했고 때문에 LNG 운반선의 수주가 급등하게 된 것입니다. 여기서 이 LNG 운반선의 수주를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곳이 바로 우리나라입니다. 22년 7월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 리서치와 산업통상 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계가 올해 상반기 전 세계 발주량의 45.5%를 수주하면서 세계 1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알면 알수록 모든 이슈와 산업들이 서로 연관되어있어 경제가 재밌는 것 같습니다.

재미로 보는 카타르 월드컵의 타이틀

1. 월드컵 역사상 최초 겨울 개최
2. 월드컵 역사상 최초 이슬람 국가 개최
3. 아시아 국가 최초 월드컵 단독 개최
4. 역대 월드컵 개최지 중 최고로 면적이 작은 나라
5. 32개국이 진출하는 마지막 월드컵 (2026년부터는 48개국 참가)
6. 처음으로 2000년생이 출전하는 월드컵
7. 코로나로 인해 전 세계 리그 경기 일정이 촘촘해지면서 선수 보호차원에서 일시적으로 엔트리가 26명으로 늘어나고 선수 교체가 5명까지 가능해진 대회
8. 개최국이 개막전에서 처음으로 패배한 대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