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의 의미와 원인

by 벨로두부 2022. 10. 25.
반응형

스태그플레이션 의미와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

출처 : forbes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의 의미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 정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 상승)을 합성시킨 말로, 경기 후퇴 국면에 있으면서도 물가가 상승하여 인플레이션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도가 심할 경우 슬럼프 플레이션이라고도 합니다.
과거의 예로 말하면, 1970년대의 오일 쇼크 때 원유 가격이 4배로 뛰어 오르면서 많은 나라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졌습니다. 일반적으로 불경기 속에서는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의 압력에 걸리기 쉬운데 임금 상승이 예상되지 않는 상태에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최악의 경제 상태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의 주원인은 뭘까요?

스태그플레이션의 가장 흔한 원인은 주로 석유나 식량 등 생활 필수품의 공급 부족에 있습니다. 그 배경에는 흔히 전쟁이나 내란, 분쟁 등이 있는데요. 제1차, 2차 오일 쇼크 때에도 사건의 발단은 중동 전쟁이나 이란 혁명이라고 하는 정치적인 대립이 원인이었습니다. 당시의 선진국들은 석유의 대부분을 중동에 의존하고 있어 수출 제재나 가격 인상을 선고받자마자 타격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석유에 대한 극단적인 중동 의존으로부터 탈각하기 위해서 수입국의 분선이나 유전 개발 그리고 원자력, 태양광 등 대체 에너지의 개발에 힘을 쏟았습니다.

2022년 현재, 이번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은?

미국 연준에서 연속된 빅스텝, 자이언트 스텝으로 급격하게 금리를 인상시키고 있어 전 세계의 경기가 얼어붙은 와중에 전 세계 수출 1위인 중국이 코로나로 인해 빗장을 잠가 공급망을 훼손시키며 경기 부진을 악화시켰습니다.
게다가 스태그플레이션의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소개했던 전쟁이 진행 중이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즉 러우전쟁이 진행 중인데요. 러시아는 원자재 공룡으로 세계 3위의 원유 생산 국가이면서 2번째로 큰 가스 생산 국가입니다. 이러한 러시아의 석유, 가스 등 주요 원자재 공급이 막히게 되었고, 심지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교역량을 합치면 무려 전 세계의 29%를 차지하는 밀의 공급 또한 원활하지 않게 된 것입니다.

2022년 10월인 지금, 한국은 스태그플레이션의 초입이다?

미국 등 주요 나라가 이미 경기 침체 속에서 물가는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태에 진입했고, 한국도 스태그플레이션에 본격적으로 진입할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9월의 물가 상승률이 8.3%나 되고, 1분기 경제 성장률이 잠재 성장률(2.1%)보다 낮은 -0.6%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물가는 높아지는 반면 경기 불황 국면으로 인해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은 아직까지 미국보다 물가 상승률이 낮은 편이고 경제 성장률과 잠재 성장률의 갭이 1.0%로 유지되고 있어서 아직 본격적으로 진입한 것은 아니지만 내년에는 진입할 수도 있다는 의견입니다.


마무리

일단 스태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서는 물가를 낮춰야 하고 경기를 올려야 하는데요. 물가를 낮추려면 금리를 올려야 하고, 금리를 올리면 경기가 둔화되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어 쉽지 않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요즘 정말 시장에 호재가 없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