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금저축2

[연금시리즈]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의 공통점과 차이점 알아보기 [연금 시리즈]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의 공통점과 차이점 알아보기 이전 포스팅에서 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인 IRP의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 글을 보셨던 분들이라면 연금저축을 어떤 걸 들어야 할지 고민하시게 되실 텐데요. 연금저축은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계좌(연금펀드)로 나뉘게 되는데 어떤 상품이 더 좋을지 차이점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의 공통점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의 공통점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2023년부터 아래 표와 같이 나이구분 없이 납입 한도액이 상향되었으며 총 급여액 5,500만 원을 기준으로 이하일 경우 15% (900만 원 납입시 135만 원), 초과일 경우 12%(900만 원 납입시 108만 원)의 공제를 받을 .. 2022. 12. 5.
2023년부터 바뀌는 연금계좌 세액 공제 한도와 연금저축과 IRP의 차이점 알아보기 2023년부터 바뀌는 연금계좌 세액 공제 한도와 연금저축과 IRP의 차이점 연금계좌란 국민연금 외에 노후를 대비해 개인이 가입하는 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을 의미합니다. 지금도 이 연금계좌에 한하여 최대 연 15%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많은 분들이 이를 통해 노후 관리도 하고 세제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금계좌에 대해 세액 공제 한도가 '2022 세재 개편안'에 의하여 바뀌었는데 어떻게 바뀌게 되며, 연금저축과 IRP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계좌 세액 공제 한도 상향 연금계좌에 대한 세액공제의 한도가 전체적으로 200만원씩 상향되어 연금저축의 경우에는 기존 연 400만 원에서 연 600만원으로, 개인형 IRP는 연 700만 원에서 연 900만원으로 상향.. 2022.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