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3년 인상되는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살펴보기

by 벨로두부 2022. 12. 8.
반응형

2023년 인상되는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살펴보기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올해 512만 1080원 대비 5.47% 인상된 540만 964원으로 결정되었고, 이와 동시에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지원금 또한 인상되었습니다. 그렇다면 2023년에는 생계지원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고 얼마나 인상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썸네일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총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하였을 때 한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의 소득을 이르는 것으로 정부의 복지정책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 중위소득 인상

 

2023년 중위소득 인상

2022년 7월 29일 보건복지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위 표와 같이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5.47% 인상되었으며, 중앙 생활보장 위원회에서는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함께 2023년도 각 급여별 선정 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도 확정하였습니다.  급여별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대비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결정하며 기준 중위소득 대비 생계급여는 30%,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7%, 교육급여는 50% 이하 가구에게 지급됩니다. 

 

저소득층 생계지원금 및 교육, 주거, 의료 지원비 인상

생계급여

2023년 급여별 선정기준
출처 : 보건복지부

 생계급여를 보게되면 기준 중위소득 30%에 해당하는데요. 4인 가구 기준 2022년 153만 6324원에서 162만 289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때 각 가구별 실제 지원되는 생계급여액은 선정기준액에서 해당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즉 1인 가구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소득이 0원이라면 62만 3368원을 다 받는 것이고,  소득이 30만 원이라면 62만 3368원에서 30만 원을 차감해 32만 3368원을 받는 것입니다. 

 

의료급여

의료급여 본인부담 비용
출처 : 보건복지부

그 외에 의료비, 주거비, 교육비 지원금 또한 인상되었는데요. 의료급여는 기존과 동일하게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자 본인의 부담 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합니다. 의료급여 본인부담 비용은 위 표와 같습니다.

 

주거급여

23년 임차가구 기준임대료
출처 : 보건복지부

 주거급여는 선정기준을 내년부터 기준중위소득의 46%에서 47%로 확대하여 올해보다 약 14만 가구의 주거비를 지원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임차가구에 대한 임차 급여 지급 상한액인 '임차가구 기준임대료'는 시장 임차료 상승분의 100%을 반영하여 인상했으며 자가가구에 대한 주택 수선비용도 주택 노후도에 따라 경보수는 457만 원, 중보수는 849만 원, 대보수는 1241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교육급여

23년 교육급여 지급기준
출처 : 보건복지부

마지막으로 교육급여는 교육지원비가 저소득층의 교육활동에 보다 많이 사용될 수 있도록 기존에 현금으로 지급했던 방식을 23년 3월부터 바우처로 개편했습니다. 또한 교육활동지원비를 22년 대비 평균 23.3% 인상하여 초등학교는 약 41만원, 중학교는 약 59만 원, 고등학교는 약 65만 원을 연 1회 지급한다고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신청방법

기초생활수급자 신청은 거주지의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필요한 서류는 가족관계 증명서, 금융 정보 제공 동의서, 사회보장급여 제공 신청서, 임대차계약서, 소득 및 재산 확인 서류, 의사소견서(65세 미만 신청 시)입니다. 추가로 기타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거주지의 주민센터에서 사회복지 담당자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2023년 인상되는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지원 가능 여부를 살펴보신 후 가능하신 분들은 놓치지않고 꼭 혜택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

댓글